It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신감 있는 시니어 PM으로 성장해나가길 바라며 [IT 도서리뷰]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프로덕트를 이해하는 자가 프로덕트를 지배한다) # 김영욱 지음 # 한빛미디어 출판 정확히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다. 매니지먼트해야 할 대상은 사람이 아니다. 각 매니저가 관리해야 할 대상을 보자. 프로덕트 매니저는 프로덕트(혹은 서비스)다. 프로젝트 매니저는 시간, 비용, 리소스다. 프로그램 매니저는 특정 기능이다. - 1장 프로덕트 매니지먼트란 무엇인가? (p.47) 지금의 회사에 이직한지도 5개월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입사한지 2개월이 되어갈 때 즈음 기획 조직의 리더가 되었습니다. 빠르게 인정받았다는 기쁨과 함께, 권한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가졌습니다. 5년 넘게 다녔던 첫 직장에서 암묵적 일잘러+리더로 포지셔닝 되고 있었기 때문에 걱정할.. [경제/경영 도서리뷰] 카카오와 네이버는 어떻게 은행이 되었나 # 카카오와 네이버는 어떻게 은행이 되었나 주관적 평가 - (4/5) ★★★★☆ 우리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질문은 무엇일까? 바로 '어떤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이며,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그 문제를 어떤 방식으로 해결할 것인가'다. 어떤 기술을 사용했는지와 같은 요소는 고객 입장에서는 부수적일 뿐 서비스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한다. 우리는 핀테크가 금융 기술 혁명이 아닌, 금융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임을 기억해야 한다. (중략) 각각의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발견해 지금의 자리에 위치하게 됐다. (p.64) 서비스 기획자로서 참 와닿는 구절이다. 우리가 만든 서비스는 결국 end-user 에게 편리하거나, 재미있거나, 유용해야 한다. 서비스 기획자로서 나의 신념이다. .. 공부의 연속 판교 생활을 시작한지도 한 달 반.(세부적으로는 다른 점이 많지만) 결과적으로 그토록 원하던 K 계열사로 이직한지 한 달 반이 지났다. IT 서비스 기획자인 나는 담당 프로젝트에 따라, 항상 공부를 한다.새로운 세계를 알아가는 과정은 꽤나 흥미롭다. QR코드 프로젝트 진행 당시, 식당 카운터에서 계산할 때마다 QR코드와 POS기를 유심히 관찰하고 사진을 찍었다. 카카오페이, 알리페이, 모바일 멤버십, 모바일 학생증, 코로나 QR체크인 등 활성화된 QR코드 서비스 거의 대부분을 서치하고 분석했다. 사용성 높은 서비스 UX/UI 를 위해서였다. QR코드로 확정하기 이전에는, 비콘/RFID/NFC/GPS/생체인식 등 다양한 인식 기술을 서비스화 했을 때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공부했다. 기술 수단의 타당성 검토를.. [회계관리 2급] 자격증 시험 소개 2021.04.03(토)부터 회계관리 2급 자격증 시험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IT 서비스 기획자로서, 회계 관련 어드민 서비스 구축 프로젝트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회계 전반에 대한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기획과 구축 및 안정화를 위해, 목표를 가지고 자격증 취득에 임하고자 합니다.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 의지를 다잡고 편하게 자주 복습할 생각입니다! ^^ 다수의 회계관리 2급 준비생분들께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의미에서 지속적으로 포스팅 하겠습니다. 1. [회계관리 2급] 시험 개요 : 기업의 의사소통 수단인 회계의 기초지식(회계원리)을 검증하고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국가공인 자격증 2. 평가범위 - 회계원리 범위 구분 평가범위 Ch 1. 회계의 첫걸음 회계의 개념과 흐름 Ch 2. .. [경제/경영 도서리뷰] 프로덕트 오너 (조직을 성공으로 이끄는) # 조직을 성공으로 이끄는 프로덕트 오너 (PRODUCT OWNER) 주관적 평가 - 별 5개 (5/5) ★★★★★ 나는 IT 서비스 기획자다. 기획자로 일하며 개발/디자인에 비해 서비스 기획에 대한 도서가 적다는 것이 항상 아쉬웠다. 웹기획 실무 방법을 알려주는 몇몇 도서로 많은 도움을 받았지만, 서비스 기획 - 그 업(業)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도서에 대한 갈증이 있었다. 그러던 중, 라는 이 책을 알게 되었다. 내가 몸담고 있는 서비스 기획 직무와 PO 직무는 동일하지 않다. 그러나, PO는 특정 프로덕트를 책임지는 미니 CEO라고 볼 수 있는데, 서비스 기획보다 상위의 개념으로서 더 넓은 시야와 장기적인 관점으로 생각해볼 수 있어 더욱 의미있는 독서였다. 나의 실무가 연상되는 부분들이 너무나.. 이전 1 다음